C3 33주년 특별호
한국건축 – 100년의 진화와 그 너머
한국건축 – 100년의 진화와 그 너머_현유미
한국건축 100년_안창모
한국 현대건축, 진화의 안팎_이주연
조정구 구가도시건축
– 제주 토산리 주택
한옥에서 찾는 현대 건축_이상희
정재헌
– 도천 라일락집
– 오륙도 가원 카페
익숙하고 편안한 건축을 향하여_김혁준
민현준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열린 건축_이상희
곽희수
– 기장 웨이브온
– 모켄 리조트
욕망의 실현과 참을 수 없는 유혹_현유미
임재용 O.C.A
– HK 도약관
– 호텔 오라
새로운 프로토타입을 만들다_강권정예
이손건축
– 아이뜰 유치원
– 마림바 주택
평범과 비범 사이_전효진
조병수건축
– 꺾인 지붕 집
– 퀸마마 마켓
“어.. 이거 원래 여기 있었나?”_현유미
운생동 장윤규+신창훈
– 크로노토프 월 하우스
실험한다, 고로 존재한다_전효진
유현준건축
– 압해읍종합복지관
관계의 조율, 관계의 회복_정귀원
보이드아키텍트
– 서울대학교 IBK 커뮤니케이션센터
공생의 건축_최순영
젊은 건축가의 시대_정귀원
조호건축
– 플랫폼 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
재료적 감성과 공간의 가감_정귀원
네임리스건축
– 동화고 삼각학교
유연하게 반응하는 건축_정귀원
C3는 전세계에서 그 품격과 품질을 인정받고있는 탑클라스의 프레미엄 잡지입니다. 한국 건축잡지로는 유일하게 뉴욕, 런던, 파리, 도쿄 등을 비롯해 전세계 글로벌 도시에서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다렌 대학과 라이센스 계약을 맺어 중국어판이 배포되고 있습니다. 2001년부터 판매가 시작된 중국어판은 중국 전역과 대만 홍콩에서 판매되고 있습니다.
C3 스페셜_Korean Architecture
한국건축 – 100년의 진화와 그 너머_현유미
‘C3’가 창간 33주년을 맞아 한국의 현재 건축을 특별호로 소개한다. 그 근간이 되는 한국 전통 건축에서부터 2000년대까지 100여 년의 진화과정도 함께 살펴본다.
한국 건축, 어떻게 진화했는가
한국의 전통건축은 사찰(불교), 서원(유교), 궁실건축, 그리고 양반들의 기와 한옥과 서민들의 초가로 대표되는 주거건축으로 나눠 볼 수 있다. 전통 건축으로서의 면모를 오늘날까지 보여주는 건물은 극히 일부의 궁궐과 사찰 정도이고, 주거건축은 전통 모습 그대로 남아 있는 사례를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20세기 초 일제강점기 식민지 모더니즘, 해방 후 이념의 시대, 이후 산업화 시대를 거치며 철저히 외면됐기 때문이다. 지난 100년간 한국의 도시는 빠르게 모습을 바꾸어 왔다. 전통과 현대 사이, 그 100년 동안 한국 도시와 건축의 맥을 짚어 본다.
C3는 전세계에서 그 품격과 품질을 인정받고있는 탑클라스의 프레미엄 잡지입니다. 한국 건축잡지로는 유일하게 뉴욕, 런던, 파리, 도쿄 등을 비롯해 전세계 글로벌 도시에서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다렌 대학과 라이센스 계약을 맺어 중국어판이 배포되고 있습니다. 2001년부터 판매가 시작된 중국어판은 중국 전역과 대만 홍콩에서 판매되고 있습니다.
C3 스페셜_Korean Architecture
한국건축 – 100년의 진화와 그 너머_현유미
‘C3’가 창간 33주년을 맞아 한국의 현재 건축을 특별호로 소개한다. 그 근간이 되는 한국 전통 건축에서부터 2000년대까지 100여 년의 진화과정도 함께 살펴본다.
한국 건축, 어떻게 진화했는가
한국의 전통건축은 사찰(불교), 서원(유교), 궁실건축, 그리고 양반들의 기와 한옥과 서민들의 초가로 대표되는 주거건축으로 나눠 볼 수 있다. 전통 건축으로서의 면모를 오늘날까지 보여주는 건물은 극히 일부의 궁궐과 사찰 정도이고, 주거건축은 전통 모습 그대로 남아 있는 사례를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20세기 초 일제강점기 식민지 모더니즘, 해방 후 이념의 시대, 이후 산업화 시대를 거치며 철저히 외면됐기 때문이다. 지난 100년간 한국의 도시는 빠르게 모습을 바꾸어 왔다. 전통과 현대 사이, 그 100년 동안 한국 도시와 건축의 맥을 짚어 본다.
연관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