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너코스티아 크로싱 공중공원 _ OMA + OLIN
– 클리시-몽페르메유 지하철역 _ 미라예스 타글리아부 EMBT + 보르다스 + 페이로
– 빈지 뉴타운의 기차역 _ 헤닝 라슨 아키텍츠
– 헝가리 음악 박물관 _ 소우 후지모토 아키텍츠
– 헝가리 사진 박물관과 건축 박물관 _ 코제풀레테르베조제 지에르티
– 헝가리 민속학 박물관 _ 발렛 드 마티니스 악쉬텍츠 + 디드 악쉬텍츠
도시 변화 속 스포츠 레저 시설
도시 변화 속 스포츠 레저 시설 _ 알도 바니니
– 복합 스포츠 공간, 스트리트돔 _ CEBRA + 글리프버그+리케
– 부시윅 인렛 공원 _ 키스 + 캐스카트
– 숲 속 야외 스케이트장, 레프락 센터 _ 토드 윌리암스 빌리 씨엔 아키텍츠
– 서커스 혁신연구센터 _ 도아잔 + 예슈베거 & 어쑤시에
– 알레-업 실내 암벽등반장 _ 스미스 비겅트 아키텍츠
– 브레사노네 실내 암벽등반장 _ 란츠 + 뮤츌레흐너 + 볼프강 메라네르
도시 주거: 공간 – 소통 – 영역 – 사생활
도시 주거: 공간 – 소통 – 영역 – 사생활 _ 파브리치오 아이마르
– 연희동 주택 _ 이손건축
– 도심 속 오두막, SG 주택 _ 뚜띠아르끼떼띠
– 움직이는 샤리피 – 하 주택 _ 넥스트오피스
– CM 주택 _ 브루노 반베씬 + 크리스토프 미어스먼
– 한 지붕 세 가족, 남리 주택 _ 창 아키텍츠
– 모퉁이의 작은 집 _ 사바오아루키
– 반전이 있는 쓰다누마 주택 _ 퓨즈-아뜰리에
– 1014 주택 _ 하르끼떽떼스
C3는 전세계에서 그 품격과 품질을 인정받고있는 탑클라스의 프레미엄 잡지입니다. 한국 건축잡지로는 유일하게 뉴욕, 런던, 파리, 도쿄 등을 비롯해 전세계 글로벌 도시에서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다렌 대학과 라이센스 계약을 맺어 중국어판이 배포되고 있습니다. 2001년부터 판매가 시작된 중국어판은 중국 전역과 대만 홍콩에서 판매되고 있습니다.
C3 370호 (2015년 6/12)
도시 변화 속 스포츠 레저 시설
도시 변화 속 스포츠 레저 시설 _ 알도 바니니
인간이 거의 통제에 가까웠던 생존의 요구에서 벗어나면서 현대인들의 삶에는 다양한 가능성이 주어졌다. 살아가는 데 꼭 필요치 않은 활동에도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것이다. 특히 근대에 접어들어 실증주의적 사조가 등장하면서 사회는 스포츠의 가치를 본격적으로 재발견하게 된다. 사실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에는 경쟁을 목적으로 한 시합이든 여가를 목적으로 한 생활 체육이든 인간의 모든 신체적 활동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하지만 기독교의 윤리가 지배적이었던 지난 수 세기 동안, 스포츠는 대중 사이에서 완전히 사라진 듯 그 모습을 감췄다.
다시 현대 사회로 돌아와 보자. 오늘날 우리 사회는 스포츠 경기에 상당한 물자와 엄청난 관심을 쏟아 붓는다. 이에 따라 경기가 벌어지는 건축 유형도 급속한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취미로서의 신체 활동을 위한 공간을 만드는 데는 훨씬 더 적은 비용만이 투입되고 있다. 물론 건축적인 관심이나 고민의 깊이도 다르다.
하지만 경쟁적인 스포츠 경기가 방송의 영역으로 편입되어 대중들의 삶에서 상부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하더라도, 스포츠라는 단어는 밖으로 나간다는 뜻의 라틴어 ‘데포르타레’, 그리고 여가나 즐거움을 뜻하는 고대 프랑스어 ‘데스포르’에서 유래했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여가 시간에 이뤄지는 다양한 활동과, 관습에 얽매이지 않은 이 활동들의 특성은 공간 계획과 기능의 측면에서 매우 흥미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특히 본래의 목적을 잃은 도시 공간을 재생하는 일과도 관련지을 수 있다. 즉, 여가적 신체 활동과 관련된 장소나 시설들은 새로운 공간 형태를 탐구하는 실험의 장이 되는 셈이다. 동시에 이미 확정되어 있던 도시 부분들의 새로운 연계 방법을 탐구하는 현장이자, 기능을 잃은 공간에 다시금 활기를 불어넣는 기회의 장이 된다.
C3는 전세계에서 그 품격과 품질을 인정받고있는 탑클라스의 프레미엄 잡지입니다. 한국 건축잡지로는 유일하게 뉴욕, 런던, 파리, 도쿄 등을 비롯해 전세계 글로벌 도시에서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다렌 대학과 라이센스 계약을 맺어 중국어판이 배포되고 있습니다. 2001년부터 판매가 시작된 중국어판은 중국 전역과 대만 홍콩에서 판매되고 있습니다.
C3 370호 (2015년 6/12)
도시 변화 속 스포츠 레저 시설
도시 변화 속 스포츠 레저 시설 _ 알도 바니니
인간이 거의 통제에 가까웠던 생존의 요구에서 벗어나면서 현대인들의 삶에는 다양한 가능성이 주어졌다. 살아가는 데 꼭 필요치 않은 활동에도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것이다. 특히 근대에 접어들어 실증주의적 사조가 등장하면서 사회는 스포츠의 가치를 본격적으로 재발견하게 된다. 사실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에는 경쟁을 목적으로 한 시합이든 여가를 목적으로 한 생활 체육이든 인간의 모든 신체적 활동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하지만 기독교의 윤리가 지배적이었던 지난 수 세기 동안, 스포츠는 대중 사이에서 완전히 사라진 듯 그 모습을 감췄다.
다시 현대 사회로 돌아와 보자. 오늘날 우리 사회는 스포츠 경기에 상당한 물자와 엄청난 관심을 쏟아 붓는다. 이에 따라 경기가 벌어지는 건축 유형도 급속한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취미로서의 신체 활동을 위한 공간을 만드는 데는 훨씬 더 적은 비용만이 투입되고 있다. 물론 건축적인 관심이나 고민의 깊이도 다르다.
하지만 경쟁적인 스포츠 경기가 방송의 영역으로 편입되어 대중들의 삶에서 상부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하더라도, 스포츠라는 단어는 밖으로 나간다는 뜻의 라틴어 ‘데포르타레’, 그리고 여가나 즐거움을 뜻하는 고대 프랑스어 ‘데스포르’에서 유래했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여가 시간에 이뤄지는 다양한 활동과, 관습에 얽매이지 않은 이 활동들의 특성은 공간 계획과 기능의 측면에서 매우 흥미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특히 본래의 목적을 잃은 도시 공간을 재생하는 일과도 관련지을 수 있다. 즉, 여가적 신체 활동과 관련된 장소나 시설들은 새로운 공간 형태를 탐구하는 실험의 장이 되는 셈이다. 동시에 이미 확정되어 있던 도시 부분들의 새로운 연계 방법을 탐구하는 현장이자, 기능을 잃은 공간에 다시금 활기를 불어넣는 기회의 장이 된다.
연관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