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카고 해군 부두 프로젝트 _ 제임스 코너 필드 오퍼레이션스
− 보르도 문화센터 _ BIG
− 깐느 영화제의 일곱 스크린 임시 상영관 _ OMA
따져보기
땅 속 옛 흔적을 찾다
땅 속 옛 흔적을 찾다 _ 알리슨 킬링
− 2012 서펜타인 갤러리 파빌리온 _ 헤르조그 앤 드 뫼론+아이 웨이웨이
병원, 자연과 사람을 향하다
미래를 치유하다 _ 앤드류 탕
− 하랄드스플라스 병원 추가 병동 _ C.F. 뮐러 아키텍츠
− 코펜하겐 릭스 병원 증축안 _ 3XN
− 취리히 어린이병원 _ 헤르조그 앤 드 뫼론
− 산타 루치아 대학병원 _ 까사 솔로 아르끼떽또스
− 아케르스후스 대학병원 _ C.F. 뮐러 아키텍츠
− 그라놀레 병원 증축 _ 삐나르크
− 세비야 병원 첨단의료기술 연구소 _ MGM 아르끼떽또스
− 레이 후안 까를로스 병원 _ 라파엘 드 라-호즈 아르끼떽또스
시민 안전을 위한 건축
시민안전시설의 새 모습 _ 시모네 코르다
− 레우스 112 응급구조센터 _ ACXT 아키텍츠
− 자그리브 종합응급센터 _ 카투시츠 코츠벡크 아르히떽띠/프로둑씨아 004
− 생드니 경찰서 _ 익스튀 아키텍츠
− 세비야 경찰서 _ 빠레데스 뻬드로사 아르끼떽또스
− 만사나레스 경찰서 _ 에스뚜디오 라마세따
− 베르겐 중앙소방본부 _ 스테인 할보쓴 AS 시빌아끼텍띠 MNAL
− 마그라이드 암벽 소방서 _ 베르마이스떼르 울프 아키텍튼
스티븐 홀
맥락에 대한 새로운 해석, 스티븐 홀의 새 박물관 _ 휴먼 우
− 성북 미술관
− 비아리츠의 해양 박물관, 바다와 파도의 도시
− 난징 쓰팡 미술관
C3는 전세계에서 그 품격과 품질을 인정받고있는 탑클라스의 프레미엄 잡지입니다. 한국 건축잡지로는 유일하게 뉴욕, 런던, 파리, 도쿄 등을 비롯해 전세계 글로벌 도시에서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다렌 대학과 라이센스 계약을 맺어 중국어판이 배포되고 있습니다. 2001년부터 판매가 시작된 중국어판은 중국 전역과 대만 홍콩에서 판매되고 있습니다.
C3 336호 (2012년 8/12)
병원, 자연과 사람을 향하다
미래를 치유하다 _ 앤드류 탕
지난 십여 년간, 의료 산업은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오랫동안 병원은 국가의 주도로 운영되고 관리되는 국영 시설이었지만, 이제는 상황이 달라졌다. 의료 시설들도 민영화의 길을 피하기 어려워졌고, 더욱 시장 경쟁력 있는, 특화된 전문 시설로 그 운영 형태를 바꿔가는 추세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면, 오늘날의 병원은 더이상 병을 낫게 하는 일차적인 역할만으로는 부족하다. 즉, 고객이 경험하는 공간의 질도 치료라는 기본적인 목표만큼이나 중요해진 것이다. 또 어떤 병원은 효율적인 배치를 통해, 보다 빠른 회복을 돕고자 한다. 절차와 공간상의 효율성을 높임으로써 환자들의 치료 과정을 순조롭게 하고, 결과적으로는 입원기간과 비용 절감에도 도움을 준다. 한편, 위압감을 주던 지금까지의 병원과는 달리 편안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데 초점을 두는 예도 있다. 환자의 불안감을 없애고 근본적인 차원에서 치료를 유도하는 인간적인 접근이라 하겠다. 뿐만 아니라, 최근 신축된 대다수 병원은 탄소배출 절감이라는 국제적인 책무도 충분히 반영하고 있다. 이렇듯 앞서 언급한 몇 가지 사항들은 병원설계 그 자체는 물론이고, 주변의 경관이나 공공공간을 계획하는데도 실제로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자 최근 병원 건축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경향이다.
병원이라는 단어는 환대하다, 반갑게 맞다, 친절히 대하다 등의 의미가 있는 라틴어에서 탄생했다. 그리고 오늘날의 병원은 그 어원에 담긴 의미를 다시금 발견하면서 새로운 건축 속에 담아내고 있다.
C3는 전세계에서 그 품격과 품질을 인정받고있는 탑클라스의 프레미엄 잡지입니다. 한국 건축잡지로는 유일하게 뉴욕, 런던, 파리, 도쿄 등을 비롯해 전세계 글로벌 도시에서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다렌 대학과 라이센스 계약을 맺어 중국어판이 배포되고 있습니다. 2001년부터 판매가 시작된 중국어판은 중국 전역과 대만 홍콩에서 판매되고 있습니다.
C3 336호 (2012년 8/12)
병원, 자연과 사람을 향하다
미래를 치유하다 _ 앤드류 탕
지난 십여 년간, 의료 산업은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오랫동안 병원은 국가의 주도로 운영되고 관리되는 국영 시설이었지만, 이제는 상황이 달라졌다. 의료 시설들도 민영화의 길을 피하기 어려워졌고, 더욱 시장 경쟁력 있는, 특화된 전문 시설로 그 운영 형태를 바꿔가는 추세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면, 오늘날의 병원은 더이상 병을 낫게 하는 일차적인 역할만으로는 부족하다. 즉, 고객이 경험하는 공간의 질도 치료라는 기본적인 목표만큼이나 중요해진 것이다. 또 어떤 병원은 효율적인 배치를 통해, 보다 빠른 회복을 돕고자 한다. 절차와 공간상의 효율성을 높임으로써 환자들의 치료 과정을 순조롭게 하고, 결과적으로는 입원기간과 비용 절감에도 도움을 준다. 한편, 위압감을 주던 지금까지의 병원과는 달리 편안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데 초점을 두는 예도 있다. 환자의 불안감을 없애고 근본적인 차원에서 치료를 유도하는 인간적인 접근이라 하겠다. 뿐만 아니라, 최근 신축된 대다수 병원은 탄소배출 절감이라는 국제적인 책무도 충분히 반영하고 있다. 이렇듯 앞서 언급한 몇 가지 사항들은 병원설계 그 자체는 물론이고, 주변의 경관이나 공공공간을 계획하는데도 실제로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자 최근 병원 건축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경향이다.
병원이라는 단어는 환대하다, 반갑게 맞다, 친절히 대하다 등의 의미가 있는 라틴어에서 탄생했다. 그리고 오늘날의 병원은 그 어원에 담긴 의미를 다시금 발견하면서 새로운 건축 속에 담아내고 있다.
연관 상품